//구글콘솔 광고 추가가
728x90
반응형
NIC와 케이블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
: 호스트와 통신 매체를 연결하고, MAC 주소가 부여되는 네트워크 장비.

케이블(cable)
: NIC에 연결되는 물리 계층의 유선 통신 매체.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 광섬유 케이블. 

 

NIC
: NIC는 호스트의 "귀"와 "입"

- NIC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LAN 카드, 네트워크 카드, 이너넷 카드(이더넷 네트워크의 경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림.

- 호스트를 네트워크(LAN)에 연결하는 장비.

>> 호스트와 유무선 통신 매체를 연결.

>> 통신 매체 신호와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상호 변환. (호스트가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정보는 NIC를 거치게 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역할을 수행.)

- 유의 할 점 : NIC는 MAC 주소를 인식!

>> 자신과는 관련 없는 수신지 MAC 주소가 명시된 프레임 폐기.

>> FCS 필드를 토대로 오류를 검출해 잘못된 프레임을 폐기.

NIC 속도와 성능의 관계
- NIC마다 지원되는 속도가 다르다는 점에 유의.
 >> NIC의 지원 속도는 10Mbps부터 100Gbps에 이르기까지 NIC마다 다름.
 >> 네트워크 속도에 영향을 끼침. 
 >> (내장된 NIC가 있어도) 높은 대역폭에서 많은 트래픽을 감당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고속 NIC 추가적으로 증설하기도 함.

 

케이블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twisted pair cable)

- 구리선으로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 매체.

- 생김새 = 커넥터 + 케이블 본체

(* 커넥터 : 주로 활용되는 커넥터는 RJ-45, * 케이블 본체 : 구리 선이 두 가닥씩 꼬아진 형태.)

* 구리선은 노이즈에 민감.
- 차폐(shielding) - 구리 선 주변을 감싸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방식.
- 브레이드 실드(braided shield) 혹은 포일 실드(foil shield)
>> 차폐에 사용된 그물 모양의 철사와 포일. 

* 실드에 따른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의 분류
- STP(Shielded Twisted Pair) : 브레이드 실드로 감싼 케이블.
- FTP(Foil Twisted Pair) : 포일 실드로 노이즈를 감소시킨 케이블.
- UTP(Unshielded Twisted Pair) : 아무것도 감싸지 않은 구리 선만 있는 케이블. 

자세히 >>
* 실드에 따른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의 분류
- XX에는 케이블 외부를 감싸는 실드의 종류(하나 혹은 두 개)
- Y에는 꼬인 구리 선 쌍을 감싸는 실드의 종류.
XX/YTP
>> U : 실드 없음.
>> S : 브레이드 실드.
>> F : 포일 실드.
>> S/FTP 케이블 - 케이블 외부 : 브레이드 실드 / 꼬인 각 구리 선 쌍 : 포일 실드.
>> F/FTP 케이블 - 케이블 외부와 각 구리 선 쌍을 모두 : 포일 실드.
>> SF/FTP 케이블 - 케이블 외부 : 브레이드 실드와 포일 실드 / 각 구리선 쌍 : 포일 실드.
>> U/UTP 케이블 - 아무것도 감싸지 않은 케이블.
본체에 써있으니 굳이 잘라서 확인 할 필요 없음.

* 카테고리에 따른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의 분류
- 카테고리가 높을 수록 
1. 지원 가능한 대역폭이 높아짐.
2. 송수신 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짐.
3. 일반적으로 더 빠른 전송이 가능함. 

 

케이블
- 광섬유 케이블

- 빛(광신호)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케이블.

-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케이블에 비해 속도도 빠르고, 먼 거리까지 전송이 가능.

- 노이즈로부터 간섭받는 영향되 적으므로 대륙 간 네트워크 연결에도 사용. 

- 생김새 = 커넥터 + 본체

>> 커넥터 종류 다양함(LC 커넥터, SC 커넥터, FC 커넥터, ST 커넥터) 

* 광섬유 케이블 
- 광섬유 케이블 본체 내부는 머리카락과 같은 형태의 광섬유로 구성.
>> 광섬유는 빛을 운반하는 매체.
>> 광섬유 중심에는 코어(core) - 코어는 광섬유에서 실질적으로 빛이 흐르는 부분.
>> 코어를 둘러싸는 클래딩(cladding) - 빛이 코어 안에서만 흐르도록 빛을 가두는 역할. 

* 광섬유 케이블 종류(코어의 지름에 따라)
  >> 싱글 모드 광섬유 케이블(SMF, Single Mode Fiber)
  >> 멀티 모드 광섬유 케이블(MMF, Multi Mode Fiber) 
싱글 모드 광섬유 케이블 - 코어 지름이 8~10.
- 코어의 지름이 작으면 빛의 이동 경로가 하나 이상을 갖기 어려움;
"모드(mode)가 하나(single)"
- 장점 : 신호 손실이 적기에 장거리 전송에 적합.
- 단점 : 멀티 모드에 비해 일반적으로 비용이 높음.
- 싱글 모드 케이블은 파장이 긴 파장의 빛을 사용. 
멀티 모드 광섬유 케이블 - 코어의 지름이 50 ~ 62.5로 싱글 모드보다 큼.
- 빛이 여러 경로로 이동할 수 있음 :
"모드(mode)가 여러 개(multi)"
- 멀티 모드는 싱글 모드보다 전송 시 신호 손실이 클 수 있기에 싱글모드에 비해 장거리 전송에는 부적합.
- 멀티 모드 케이블은 싱글 모드에 비해 파장의 빛을 사용.
* 케이블 색상으로 분류하는 싱글 모드와 멀티 모드
- 싱글 모드 광섬유 케이블의 본체는 대부분 노란색과 파란색.
- 멀티 모드 광섬유 케이블은 오렌지색과 아쿠아색.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작년에도 올해도 봄이 오는 걸 보면 시간은 여전히도 흘러가고 있나 보다.
벚꽃은 떨어진다, 떨어진다 해도 아직까지 굳세게 매달려있는 애들도 있고, 이미 꽃비로 흩날린 애들도 있다.
오늘도 저녁 산책을 하면서 꽃비를 꽤 맞았다.
날씨도 웃긴 게 어제는 4월이 아닌 10월 같다가도 오늘은 영락없는 4월의 어느 날이더라.
바람이 따뜻해서 살랑살랑 기억도 안나는 어느 하루의 추억이 생각나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오늘은 또 알고 지내던 지인이 연락이 왔다. 날씨가 좋아졌다며 하루 만나자는 연락이었는데 반갑다가도 꼼질거리는 그 어떤 느낌에 바로 대답을 하지 못했다.

나이가 먹긴 먹었는지 이제는 길을 가다가 햇살이 닿아 빛을 내고 있는 풀잎들이 있으면 잠깐 발걸음을 멈추게 된다. 왜 그렇게 어른들의 사진첩에는 꽃 사진, 나무 사진 등등 자연 사진이 한가득한가 했던 날들이 있었는데 ㅎㅎ 이제는 내가 그러고 있네.

또 하나 달라진 게 있다면 요즘 들어 그렇게 학생들이 예뻐 보인다.
얼굴이나 외적으로 미의 기준이 낮아졌다기 보단 그냥 그 젊음이 주는 아름다움을 볼 수 있게 된 게 맞지 않나 싶다. 내가 대학생 때만 해도 그저 말 못 하는 아기들만 귀여워했었는데 이제는 대학생들도 그렇게 사랑스럽고 귀엽게 보인달까.
친구들을 만나러 종로나 홍대, 이태원 정도 가면 젊은 친구들이 한가득 보이는데 그때마다 정말 귀엽고 예뻐 보인다. 나이가 들긴 들었나 보다. 또 그렇다고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닌데. 참 알 수 없다.

눈이 자꾸 안 보여서 이제는 진짜 안경을 써야 된다. 안경을 쓰면 뭔가 인상이 더 차가워지는 것 같아서 안 썼었는데 이제는 안 쓰면 얼굴이 안 보인다.
흐릿흐릿해서 초점이 나가 있달까.
근데 또 그게 장점이 될 때도 있다. 길을 걷거나 자세히 볼 필요 없을 때는 오히려 좋다. 집중해도 안 보여서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 얼굴도 안 보인다.
예전에는 시선이 의식돼서 불편했는데 이제는 모두가 배경이다.
블러처리된 배경이라 가끔 주인공들인 친구들 얼굴도 못 봐서 붙잡힐 때가 있지만 그게 뭐 중요할까.

공허하다는 기분이 자꾸 든다.
봄을 타나? 내가 그럴 리 없는데, 이것도 나이가 들어서 더해지는 감정일까.
시간의 흐름이 가끔은 너무 빠르게, 가끔은 너무 느리게 느껴진다.
빠르지 않았으면 좋겠는 그 시간에는 빠르게 가고, 빠르게 지나갔으면 좋겠다는 또 어떤 시간에는 고정이라도 된 것 같이 멈춰있고.
가끔 보면 시간이 참 무정하달까. 그렇기에 태연히 지금도 흘러가고 있는 거겠지.

모두가 행복하길 바라며, 오늘은 좋은 꿈을 꾸고 싶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더넷(Ethernet)
이더넷이란?
- 현대 LAN, 특히 유선 LAN 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형태, 프레임을 주고받는 방법 등이 정의된 기술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이 밀접하게 연관된 이유. 

** 유선 LAN 환경은 대부분 이더넷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 물리 계층에서는 사용되는 케이블과 같은 연결 매체는 이더넷 규격을 따른다.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주고받는 프레임은 이더넷 프레임의 형식을 따른다. 

국제 표준으로써의 이더넷
- 이더넷은 IEEE 802.3이라는 이름으로 국제 표준이 됨.
- IEEE 802.3 == 이더넷 관련 다양한 표준의 모음이다라고 이해하면 됨.
>> IEEE 802.3은 이더넷 관련 표준을 만드는 작업 그룹(전문가 단체)을 의미하기도 함. 

** 오늘날에도 이더넷은 발전 중이며, 새로운 표준들이 생기는 중이다.
** 이더넷(IEEE 802.3)관련 표준 : 802.3 뒤 버전을 나타내는 알파벳으로 표현(ex. 802.3u, 802.3ab)
이더넷 표준에 따라 지원되는 네트워크 장비, 통신 매체의 종류, 전송 속도 등이 달라짐!

 

이더넷 표기 방식
: 전송속도 BASE - 추가특성
전송 속도 - 숫자만 표기되어 있으면 Mbps 속도.
- 숫자 뒤에 G가 붙는 경우 Gbps 속도.
(ex. 100Base-T 캐이블은 100Mbps 속도 지원, 10GBASE-T는 10Gbps 속도 지원)
BASE - BASE는 베이스밴드(BASEband)의 약자로, 변조 타입(modulation type)을 의미.
- 변조 타입 : 비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 매체로 전송하는 방법.
-추가 특성 - 추가 특성(additional distinction)
- 통신 매체의 특성을 명시.
- 다양한 특성이 명시될 수 있음.
>> 전송 가능한 최대 거리 (ex. 10BASE-2, 10BASE-5)
>> 물리 계층 인코딩 방식 - 데이터가 비트 신호로 변환되는 방식.
>> 레인 수 - 비트 신호를 옮길 수 있는 전송로 수. 
-가장 중요한 추가 특성 : 통신 매체의 종류.

 

통신매체의 종류
추가 특성 표기(통신 매체의 종류) 케이블 종류
C 동축 케이블
T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S 단파장 광섬유 케이블
L 장파장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 프레임
(데이터링크 계층)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주고받는 프레임
- 캡슐화를 거쳐 송신됨 : 상위 계층 정보 + 헤더 + 트레일러
>> 헤더 - 프리앰블, 수신지 MAC 주소, 송신지 MAC 주소, 타입/길이
>> 페이로드 - 데이터
>> 트레일러 - FCS
- 역캡슐화를 거쳐 수신됨
>> 헤더, 트레일러 제거 후 상위 계층으로 올려 보냄. 

 

프리앰블(preamble) - 이더넷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8바이트(64비트) 크기의 정보.
- 첫 7바이트는 10101010값을 가지고, 마지막 바이트는 10101011값을 가짐.
- 송수신지 간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 
수신지 MAC 주소와
송신지 MAC주소
- '물리적 주소'라고도 불림.
- 일반적으로 고유하고, 일반적으로 변경되지 않는 주소.
- MAC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부여되는 6바이트(48비트) 길이의 주소.
>> LAN 내의 송수신지 특성. 
>> 일반적으로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 장치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
>> 한 컴퓨터에 MAC 주소도 여러개 있을 수 있음. 
타입(type) / 길이(length)  필드에 명시된 크기가 1536(16진수 0600) 이상일 경우 : 이 필드는 타입.
**타입 : 이더타입(ethertype)이라고도 함/ 어떤 정보를 캡슐화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대표적으로 상위 계층에서 사용된 프로토콜이 명시되기도 함. 
- 필드에 명시된 크기가 1500(16진수 05DC) 이하일 경우 : 이 필드는 프레임의 크기(길이).
데이터  페이로드. 상위 계층에서 전달받거나 전달해야 할 내용.
- 최대 크기 : 1500바이트.
- 최소 크기 : 46바이트.
>> 46바이트보다 작다면 크기 맞추기 용 데이터인 패딩(padding)이 채워짐. 보통 0으로 채워짐. 
FCS(Frame Check Sequence) - 오류 검출용 정보 : FCS는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필드.
>> 이 필드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라는 오류 검출용 값이 명시됨. 

 

 

 

이더넷 외의 기술은 없는가?? >> 토큰 링 방식
토큰 링(token ring) - 토큰 링(Token Ring)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들이 링(고리) 형태로 연결. (강강술래 느낌)
- 호스트끼리 돌아가며 토큰(token)이라는 특별한 정보를 교환. (수건돌리기 느낌)
- 네트워크 내 다른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송신하려면 반드시 이 토큰을 가지고 있어야 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트래픽(traffic)이란?
- 네트워크 내의 정보량.
- 트래픽은 주로 노드에서 측정 : "특정 시점에 노드를 경유하는 정보량"
- 과도한 트래픽이 야기하는 문제 : 과부하(성능 저하) 발생.

 

네트워크 성능 지표
처리율(throughput) - 단위 시간당 네트워크를 통해 실제로 전송되는 정보량.
- 표현 단위
>> bps(bit/s) bits per second.
>> Mbps(Mbit/s) megabits per second.
>> Gbps(Gbit/s) gigabits per second.
>> pps(p/s) packets per second. 
대역폭(bandwidth) - 신호 처리 영역에서의 정의 : 주파수의 범위.
- 컴퓨팅 영역에서의 정의 : 단위 시간 동안 통신 매체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최대 정보량.
- 정보를 주고 받을 폭에 비유할 수 있음.
- bps, Mbps, Gbps 단위 사용.
패킷 손실(packet loss) - 송수신되는 패킷이 손실된 상황.
- 손실된 패킷 수, 전체 패킷 / 유실된 패킷(백분위) 사용.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캡슐화와 역캡슐화
- 캡슐화 : 계층 별 프로토콜의 목적과 특징에 부합하는 헤더(+ 트레일러) 추가되는 과정을 의미.
- 역캡슐화 : 계층 별 프로토콜의 목적과 특징에 부합하는 헤더 제거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
송신 과정에서 캡슐화, 수신 과정에서 역캡슐화
- 메시지는 송신지 입장에서는 가장 높은 계층에서부터 가장 낮은 계층으로 이동.
- 메시지는 수신지 입장에서는 가장 낮은 계층에서부터 가장 높은 계층으로 이동.

캡슐화 이미지

 

*  캡슐화에서 한 단계 위의 계층에 해더와 페이로드를 더한 값은 바로 아래 계층의 페이로드가 됨. 

< 캡슐화 >
- 상위 계층으로부터 내려받은 패킷을 페이로드로 삼아, 프로토콜에 걸맞은 헤더(혹은 트레일러)를 덧붙인 후 하위 계층으로 전달.
- 상위 계층의 패킷은 하위 계층에서의 페이로드로 간주.

 

 

 

역캡슐화 이미지

< 역캡슐화 >
- 캡슐화 과정에서 붙였던 헤더(및 트레일러)를 각 계층에서 확인한 뒤 제거하는 과정.

 

PDU(Protocol Data Unit)
: 각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단위
- 현재 계층의 PDU = 상위 계층 데이터 + 현재 계층의 프로토콜 헤더(및 트레일러)
OSI 계층 PDU
응용 계층 데이터(data)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 TCP라고 하는 프로토콜로 메시지 주고 받을 때 - 세그먼트(segment).
UDP라고 하는 프로토콜로 메시지 주고 받을 때 - 데이터그램(datagram).
네트워크 계층 IP 패킷(packet)
데이터 링크 계층 프레임(frame)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참조 모델
: 통신이 이루어지는 각 과정을 계층으로 나눈 구조.
>>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과정
- 정형화된 여러 단계가 있다.
- 이 단계는 계층적으로 표현 가능하다.

 

통신 과정을 계층적으로 나눈 이유
1.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가 용이.
2. 네트워크 문제 진단과 해결이 용이.

 

대표적인 네트워크 참조 모델
1. OSI 모델 (OSI 7 계층)
2. TCP/IP 모델(TCP/IP 4 계층)
3. TCP/IP 모델 확장 버전

OSI 모델 TCP/IP 모델 TCP/IP 모델 확장
물리 계층 (최하위 계층)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전송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응용 계층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OSI 모델
: 국제 표준화 기구 ISO에서 만든 네트워크 참조 모델
7개의 계층 각 계층이 수행하는 역할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사용자 및 사용자가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문자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변환(인코딩)하거나, 압축, 암호화
5. 세션 계층(sesion layer) 세션(통신을 주고받는 호스트의 응용 프로그램 간 연결 상태)을 관리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신뢰성 있고 안정성 있는 전송을 해야 할 때 필요한 계층

>> 패킷을 하나하나 확실히 보내게 하는 기술들이 포함.
>> 사용자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포트라고 하는 정보를 활용하기도 함.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메시지를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수신지까지 전달하는 계층

>> LAN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끔하는 기술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네트워크 내 주변 장치 간의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한 계층
1. 물리계층(physical layer) OSI 모델의 최하단, 1과 0으로 표현되는 비트 신호를 주고받는 계층 

 

TCP/IP 모델

- TCP/IP 4 계층

-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

- TCP/IP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

4개의 계층 각 계층이 수행하는 역할
4.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OSI 모델의 세션 + 표현 + 응용 계층과 유사
3.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OSI 모델의 전송 계층과 유사
2.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과 유사
1.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network access layer) (링크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 과 유사

* TCP/ IP 모델 계층에서는 물리계층에 해당하는 계층이 없음. 확장된 버전에서 다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주소

- 헤더에 담기는 대표적인 정보, 주소(address)

>> 송수신지를 특정하는 정보 (ex. IP주소, MAC 주소)

>> 주소가 있으면 "누구에게 전송할지"를 지정할 수 있다.

송수신지 유형별 전송 방식
유니캐스트(unicast) 하나의 수신지에 메시지를 전송.
송신지와 수신지가 일대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경우.(가장 일반적인 송수신 형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네트워크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
브로드캐스트 도메인(broadcast domain) - 브로드캐스트가 전송되는 범위.
(사실상 모든 네트워크를 의미.)
멀티캐스트(multicast) 네트워크 내의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에게만 전송.
애니캐스트(anycast) 네트워크 내의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 중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게 전송.

 

프로토콜
: 노드 간에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나 방법.
<택배로 책을 보내는 예시>
- 멀리 떨어진 "별담(수신지 호스트)"에게 택배로 책을 선물.
1. 선물할 책(페이로드)을 택배 상자에 넣기.
2. 배송 주소 등 택배 기사가 읽을 메시지(헤더)를 작성하고 첨부.
3. 택배 기사(네트워크 장비 or 중간 노드)를 통해 발송.

>> 택배를 올바르게 주고 받으려면 "언어"가 통해야 한다!
- "나"와 "별담"이가 이해하는 언어.
- "나"와 "택배 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택배 기사"와 "택배 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네트워크 세상의 언어가 바로 프로토콜(protocol)!!
- 일상 속 언어와는 달리 통신 과정에서 일반적으로는 여러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

 

 

>> 모든 프로토콜에는 목적과 특징이 있다!! 프로토콜 학습의 중점!!

IP는 패킷을 수신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IP 프로토콜은 패킷을 수신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적을 가진 프로토콜.
APP는 192.168.1.1과 같은 형태의 "IP주소"를 A1:B2:C3:D4:E5:F6과 같은 형태의 "MAC 주소"로 대응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트콜이다.
>> APP 프로토콜은 IP주소를 MAC주소로 대응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적을 가진 프로토콜.
HPPTS는 HPPT에 비해 보안상 더 안전한 프로토콜이다.
>> HPPTS는 HPPT프로토콜보다 보안상 더 안전한 특징을 가진 프로토콜.
TCP는 UDP에 비해 일반적으로 느리지만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이다.
>> TCP는 UDP프로토콜보다 신뢰성이 높다는 특징을 가진 프로토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 네트워크는 범위에 따라 LAN과 WAN으로 나눌 수 있다.
LAN : Local Area Network(근거리를 연결한 네트워크)
WAN : Wide Area Network(원거리를 연결한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 가까운 지역을 연결한 근거리 통신망 
>> 보통 한정된 공간에서 개인이나 소규모 조직이 구축한 네트워크를 지칭.
>> 많은 경우로 개발자가 주로 구축하고 관리할 네트워크.
ex) 가정집에 구축된 네트워크, 사무실에서 구축된 네트워크들은 대부분 LAN.

 

WAN(Wide Area Network)
: 먼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통신망
>> 다른 LAN에 속한 호스트와 메시지를 주고받아야 할 때 필요한 네트워크.  
>> 많은 경우로 ISP라고 하는 특별한 업체에서 구축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사용자에게 인터넷과 같은 WAN에 연결 가능한 회선을 임대하는 등 WAN과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국내의 대표적인 ISP업체 : KT, LG 유플러스, SK 브로드밴드) 
>> 인터넷이 WAN으로 분류
ex) LAN과 LAN 끼리 먼거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가 WAN.

 

조금 더 세밀하게 넘어가면
LAN, CAN, MAN, WAN (그냥 이런 게 있다 하고 알아두면 됨.)

 

 

 

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라서 회선 교환 네트워크와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 분류 할 수 있다.
회선 교환 네트워크 : 회선 교환 방식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음.
패킷 교환 네트워크 : 패킷 교환 방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음.



회선 교환 방식(회선 교환 네트워크)
: 메시지를 주고받기 전 (메시지 전송로인)회선(circuit)을 설정한 뒤, << 두 호스트를 연결했다 정도로 이해.
해당 회선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
  1. 회선 설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두 호스트(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물리적 경로(회선)를 먼저 설정. 이는 두 호스트가 연결되었음을 의미.
  2. 전송로 확보: 설정된 회선은 고정 대역폭을 가지며, 데이터 전송 동안 다른 사용자는 해당 경로를 사용할 수 없다.
  3. 데이터 전송: 모든 데이터는 설정된 고정 경로를 통해 전달되며, 안정적이고 일정한 전송 속도를 제공.
  4. 회선 해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회선을 해제하여 자원을 반환.

이 방식은 대표적으로 전화망에서 사용되며, 연결 안정성은 높지만, 회선을 독점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 회선 스위치
: 회선 교환 방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게끔하는 네트워크 장비. 즉, 호스트 사이에 일대일 전송로를 확보하는 네트워크 장비.

 

회선 교환 방식의 장,단점
장점 단점
두 호스트 사이에 연결을 확보한 후에 메시지를 주고 받는 특성 덕분에 주어진 시간 동안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비교적 일정함. 회선의 이용 효율이 낮아질 수 있음.
가능한 모든 회선에 끊임없이 메시지가 흐르고 있어야만 회선의 이용 효율이 높아지는데, 메시지를 주고받지 않으면서 회선을 점유하는 경우는 낭비. 

 

 

패킷 교환 방식(패킷 교환 네트워크)
: 회선 교환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네트워크.
: 메시지를 패킷(packet)이라는 단위로 쪼개어 전송하는 방법. 쪼개어 전송된 패킷들은 수신지에서 재조립.
패킷이란, 패킷 교환 네트워크상의 송수신 단위를 말한다.

 

>> 전송로의 이용 효율이 높아 회선 교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

>> 현대 인터넷은 대부분 패킷 교환 방식을 이용. 

** 패킷 스위치
: 패킷의 송수신지를 식별,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설정.
패킷 스위칭을 구현하는 주요 장치는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패킷의 구조 (택배로 예시)
패킷 택배
페이로드(payload)
(전송하는 데이터)
물품
헤더(header), 트레일러(trailer)
(부가 정보 또는 제어 정보)
택배 송장

 

 

 

**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참고 자료

http://www.jidum.com/jidums/view.do?jidumId=456

 

지식덤프

I. 데이터 통신을 위한 대표적 교환기술, 회선교환과 패킷교환의 개요  가. 교환(Switching)의 정의   - 교환이란 필요할 때만 단말장치와 단말장치 간의 통신로를 확보하여 통신망 전체의 효율화

www.jidum.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