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소
- 헤더에 담기는 대표적인 정보, 주소(address)
>> 송수신지를 특정하는 정보 (ex. IP주소, MAC 주소)
>> 주소가 있으면 "누구에게 전송할지"를 지정할 수 있다.
송수신지 유형별 전송 방식 | |
유니캐스트(unicast) | 하나의 수신지에 메시지를 전송. |
송신지와 수신지가 일대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경우.(가장 일반적인 송수신 형태) | |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네트워크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broadcast domain) - 브로드캐스트가 전송되는 범위. (사실상 모든 네트워크를 의미.) |
|
멀티캐스트(multicast) | 네트워크 내의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에게만 전송. |
애니캐스트(anycast) | 네트워크 내의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 중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게 전송. |
프로토콜
: 노드 간에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나 방법.
<택배로 책을 보내는 예시>
- 멀리 떨어진 "별담(수신지 호스트)"에게 택배로 책을 선물.
1. 선물할 책(페이로드)을 택배 상자에 넣기.
2. 배송 주소 등 택배 기사가 읽을 메시지(헤더)를 작성하고 첨부.
3. 택배 기사(네트워크 장비 or 중간 노드)를 통해 발송.
>> 택배를 올바르게 주고 받으려면 "언어"가 통해야 한다!
- "나"와 "별담"이가 이해하는 언어.
- "나"와 "택배 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택배 기사"와 "택배 기사"가 이해하는 언어.
>> 네트워크 세상의 언어가 바로 프로토콜(protocol)!!
- 일상 속 언어와는 달리 통신 과정에서 일반적으로는 여러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
>> 모든 프로토콜에는 목적과 특징이 있다!! 프로토콜 학습의 중점!!
IP는 패킷을 수신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 IP 프로토콜은 패킷을 수신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적을 가진 프로토콜. |
APP는 192.168.1.1과 같은 형태의 "IP주소"를 A1:B2:C3:D4:E5:F6과 같은 형태의 "MAC 주소"로 대응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트콜이다. |
>> APP 프로토콜은 IP주소를 MAC주소로 대응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적을 가진 프로토콜. |
HPPTS는 HPPT에 비해 보안상 더 안전한 프로토콜이다. |
>> HPPTS는 HPPT프로토콜보다 보안상 더 안전한 특징을 가진 프로토콜. |
TCP는 UDP에 비해 일반적으로 느리지만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이다. |
>> TCP는 UDP프로토콜보다 신뢰성이 높다는 특징을 가진 프로토콜. |
728x90
반응형
'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터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 분류 (0) | 2025.04.09 |
---|---|
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터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 기본 구조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