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classless addressing)
- 클래스 개념 없이 클래스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의 영역을 나누고 호스트에게 IP 주소 공간을 할당하는 방식.
- 클래스풀 주소 체계보다 더 유동적이고 정교한 네트워크 구획 가능.
- 오늘날 주로 활용되는 방식.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 클래스 없이 IP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수단. - IP 주소상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1, 호스트 주소는 0으로 표기한 비트열. >> 네트워크 내의 부분적인 네트워크(서브네트워크 subnetwork)를 구분 짓는(마스크 mask) 비트열 이라고 생각해도 됨. - A, B, C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 >> A 클래스 : 255.0.0.0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 B클래스 : 255.255.0.0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 C클래스 : 255.255.255.0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 : CIDR 표기법 사이다?표기법 - 10진수로 직접 표기 = 255.255.255.0 같이. - CIDR 표기법(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notation) >> IP 조소/ 서브넷 마스크상의 1의 개수 형식으로 표기 ex ) C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이를 2진수로 표기하면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1이 총 24개) 따라서 /24 >> IP 주소 192.168.219.103과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이면 192.168.219.103/24 |
서브네팅(subnetting) | -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클래스를 원하는 크기로 더 잘게 쪼개어 사용하는 것. - (서브넷 마스크 이용법) 서브넷 마스크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짓는 방법. >>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비트 AND 연산 -> 결과 = 네트워크 주소. >> 비트 AND 연산(bitwise AND operation)이란? - 피연산자가 모두 1인 경우에는 1, 아닌 경우에는 0이되는 연산. |
서브넷 계산기 검색하면 이렇게 계산기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손으로 계산할 필요 X.
간편 서브넷 계산기 - 개발자 도구
온라인 서브넷 계산기 CIDR 또는 서브넷 마스크를 입력하고 '계산'을 누르세요.
seb.kr
IP 주소
: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정적 IP 주소와 동적 IP 주소가 있다.
공인 IP 주소(public IP address) | 사설 IP 주소(private IP address) |
- 전 세계에서 고유한 IP 주소. - 네트워크 간의 통신. 이를테면 인터넷을 이용할 때 사용하는 IP 주소. - 공인 IP 주소는 ISP나 공인 IP주소 할당기관을 통해 할당. |
- 사설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IP주소. - 사설 IP 주소로 사용하도록 특별히 예약된 IP 주소 공간. >> 아래에 속한 IP주소라면 사설 IP 주소. * 10.0.0.0/8(10.0.0 - 10.255.255.255) * 172.16.0.0/12(172.16.0.0 - 172.31.255.255) * 192.168.0.0/16(192.168.0.0 - 192.168.255.255) - 사설 IP 주소의 할당 주체는 일반적으로 라우터(공유기) |
- 사설 IP 주소는 호스트가 속한 사설 네트워크에서만 유효한 주소.
>> 얼마든지 다른 네트워크상의 사설 IP주소와 중복 가능.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사설 IP 주소가 아닌 공인 IP 주소를 통해 이루어짐.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호스트는 외부 네트워크와 어떻게 통신하나?
- 사설 네트워크 내에서만 유효한 사설 IP 주소는 네트워크를 나가는 순간 공인 IP 주소로 변환이 돼야 함.
이걸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NAT(Network Address Traslation) 낫트~
- NAT(Network Address Traslation)
>> IP 주소 변환 기술 : 주로 사설 IP주소(네트워크 내부)와 공인 IP 주소(네트워크 외부)를 변환.
>> 대부분의 라우터와 (가정용)공유기는 NAT 기능 내장.
>> NAT를 통해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여러 호스트는 그보다 적은 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할 수 있음.
-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주소 확인 방법.
- 사설 네트워크의 패킷 속 사설 IP 주소는 공유기를 거쳐 공인 IP 주소로 변경.
- 외부 네트워크의 패킷 속 공인 IP 주소는 공유기를 거쳐 사설 IP 주소로 변경.
>> 현재 IP 주소 조회.
>> ipconfig(윈도우), ifconfig(맥 OS) 입력.
>> 만일 10.0.0.0/8, 172.16.0.0/12, 192.168.0.0/16 중 하나가 보인다면, 이는 사설 IP 주소.
>> 네이버 검색창에 "내 IP주소"를 입력하거나 구글 검색창에 "what is my ip address" 입력.
>> 네이버나 구글은 공인 IP 주소를 인식하기 때문에 공인 IP주소를 표시해 줌.
정적 IP 주소 | 동적 IP 주소 |
- 정적 할당 >> 호스트에 직접(수작업으로) IP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 이렇게 할당된 IP 주소가 바로 정적 IP 주소(static IP address). - 정적 IP 주소 부여하는 방법. >> 윈도우나 맥OS 등의 네트워크 설정에서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 >> 입력해야 하는 값들(기억해두자) : 일반적으로 부여하고자 하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라우터) 주소, DNS 주소 입력. |
- 동적 할당 >> 호스트에 IP 주소를 프로토콜을 활용해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식. IP 동적 할당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이렇게 할당된 IP 주소를 동적 IP 주소(dynamic IP address). - DHCP를 통한 IP 주소 할당 >> 클라이언트와 DHCP 서버 간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할당이 이루어짐. * 클라이언트 : IP 주소를 할당받고자 하는 호스트. * DHCP 서버 : 호스트에게 IP 주소를 제공하는 호스트. > DHCP 서버의 역할은 일반적으로 라우터(공유기)가 수행. > 특정 호스트에 DHCP 서버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음. >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 가능한 IP 주소 목록을 관리하다, 클라이언트 요청시 IP 주소를 할당. >> DHCP로 할당받은 동적 IP 주소는 사용할 기간(임대기간)이 정해짐. * 일반적으로 수 시간에서 수 일. * 임대 기간이 끝난 IP 주소는 다시 DHCP 서버로 반납. |
>> 모든 IP 주소를 정적으로 할당해주기엔 무리가 있음. - 호스트의 수가 많아질 경우 관리 곤란. - 의도치 않게 잘못된 IP 주소를 입력할 수도 있고, 중복된 IP 주소를 입력할 수도 있기 때문. >> 그렇기 때문에 동적할당, 동적 IP 주소가 활용. |
정적 IP 주소에서 게이트웨이란 무엇인가?
* 기본 게이트웨이
- 게이트웨이(gateway)의 일반적인 의미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수단.
IP주소 할당 맥락에서 사용되는 게이트웨이라 하는 용어는 기본 게이트웨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음.
- 기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 외부로 나가기 위한 기본적인 첫 경로(첫 번째 홉).
>> 네트워크 외부와 연결된 라우터(공유기)의 주소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음.
>> IP 할당의 맥락에서 사용된 "게이트웨이"라는 용어는 기본 게이트웨이(라우터(공유기)의 주소)를 의미.
* DNS 주소
: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와 변환해 주는 작업을 수행해 주는 특별한 서버 DNS 서버.
이 DNS 서버의 주소를 DNS 주소에 입력해 주면 됨.
>> DNS 주소는 일반적으로 ISP가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경우가 많음.
IP 주소 할당 과정에서 주고받는 메시지 4가지.
1. DHCP Discover.
2. DHCP Offer.
3. DHCP Request.
4. DHCP Acknowledgment(이하 DHCP ACK)
>> 임대 기간 동안 IP 주소를 사용하다가 사용 기간이 모두 끝나면 원칙적으로는 IP 주소를 DHCP 서버에 반납하고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IP 주소를 재할당 받아야 하지만, 임대 갱신이라는 메시지를 통해 임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1. DHCP Discover
(클라이언트 -> DHCP 서버)- DHCP 서버를 찾는 메시지.
- 브로드캐스트로 전송.
- 클라이언트는 아직 IP 주소를 할당받지 못했기 때문에 송신지 IP 주소는 0.0.0.0으로 설정.2. DHCP Offer
(DHCP 서버 ->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에게 할당 가능한 IP 주소 정보를 제안하는 메시지.
- 할당 가능한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임대 기간 등의 정보들을 포함.3. DHCP Request
(클라이언트 -> DHCP 서버)- DHCP Offer 메시지에 대한 응답.
- 아직까지 동적 IP 주소를 할당받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로 전송.4. DHCP ACK
(DHCP 서버 -> 클라이언트)- 최종 승인과 같은 메시지.
- DHCK ACK 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는 이제 할당받은 IP 주소를 자신의 IP 주소로 설정 후 임대 기간 동안 IP 주소 사용할 수 있음.
** 임대 갱신(lease renewal)
- IP 주소 임대 기간이 끝나기 전에 임대 기간을 연장하는 것.
- 임대 기간이 끝나기 전에 기본적으로 두 차례 자동으로 수행.
- 자동 임대 갱신이 모두 실패하면 그때 IP 주소 반납.
728x90
반응형
'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 ) 라우팅의 분류와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6.25 |
---|---|
컴퓨터 네트워크 ) 라우팅 테이블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6.19 |
컴퓨터 네트워크 ) IP 주소의 구조와 클래스풀 주소체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24 |
컴퓨터 네트워크 ) ARP에 대해 알아보자.(Address Resolution Protocol) (0) | 2025.04.24 |
컴퓨터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과 IP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