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콘솔 광고 추가가
728x90
반응형

나는 석근 1이었으니까 1시 20분까지 도착하면 되는 거였다. 집에서 우편집중국까지의 거리는 넉넉하게 25분쯤. 

처음 가보는 초행길이기 때문에 기다려도 도착해서 기다리자는 마음으로 40분 전에 미리 출발했다.  

 

걸음이 빨랐는지 20분도 안돼서 도착을 했다. 그래도 출입구가 어딘지 몰라 한 바퀴를 돌아야 했던 것을 생각하면 역시 일찍 출발하기를 잘한 듯싶었다. 동네라 해도 이렇게 우편집중국을 가운데로 한 바퀴 돌아볼 날이 언제 또 오겠냐는 생각으로 걸어봤더니 그것도 그것 나름대로 좋았다.

출입문을 발견하고 들어가 나무 밑 벤치에 앉아서 숨을 골랐다. 그때가 아마 12시 40분쯤이었을 것이다. 

새들이 짹짹거리는 소리에 "쟤들은 오늘 계획이 뭘까." 궁금하다가도 사람들이 지나가는 소리를 듣고 대기장소가 있는 곳으로 이동했다. 

 

1층을 지나 2층으로 이동하고 면접 대기실에 들어갔더니 벌써 2명이 먼저 도착해있었다. 이내 사람들이 꽤 모였고, 다양한 연령대를 마주했다. 대학생들도 있었고, 30대로 보이는 분들, 40대로 보이는 분, 50대로 보이는 분들. 정말 다양했다.

 

1시 30분이 되자 응시번호 순서대로 면접실로 향했다.  면접은 개별 면접이었고, 면접관은  2명이 계셨다.

면접 시간은 대략 5분에서 10분이 걸린다 했지만, 실제로는 7분에서 20분까지 천차만별이었다. 

 

면접 질문으로는

1. 자기소개.

2. 자신의 장,단점.

3. 지원한 곳의 일은 알고 있는지.

4. 체력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5. 최종 꿈은 무엇인지.

6. 그전에 뭘 했는지

등등 다양하게 질문해주시는데 분위기가 딱딱하지 않아서 편하게 대답하면 된다. 

 

우편집중국 알바는 시간대도 6시 반부터 11시까지라 오전, 오후에 공부하고 작디 작아진 마음을 다 잡으면서 일할 수 있을 것 같단 생각에 굉장히 하고 싶던 알바였다. 요즘 들어 점점 축축 쳐지고 있는 나 자신이 답답해진다. 봄을 타는 건가. 

지난번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준비할 때도 4월이었는데, 아마 내게 4월은 스위치의 계절이 아닌가 싶다.

 

최종꿈이 무언지 여쭈시길래 앱 개발이라 했던 것이 잘못된 것일 까.

나는 그렇게 경쟁률을 이기지 못하고 떨어졌다.

그래도 내가 언제 우편집중국에 들어가 볼 날이 있을까 싶으면서 좋은 추억으로 남겨뒀다.

다음에 공고 나면 또 지원해 봐야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랜만에 서류 합격을 했다. (슬픈 문장이다...)

우편집중국 홈페이지에서 우정실무원 뽑는 공고 조회수가 1400이 넘어가길래 알바몬에서만 사람을 뽑고 있던 게 아니라는 것을 알고 나서 면접도 안 부를 수도 있겠구나 했는데 그건 또 아니었나 보다.

 

보니까 서류를 넣은 사람들은 다 합격한 것 같다. 1명 뽑는데 경쟁률이 이렇게 치열한 게 맞는 건가. 기간도 딱 한 달인데.

세상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세상의 경기를 몸소 느껴본다.

석근3할껄. 그럼 6명 뽑으니 합격률도 꽤 높았을 텐데. 

이제 면접을 가야 된다. 

 

근데 우체국은 면접복장을 어떻게 입고 가야 되는 걸까. 정장은 아닐 거 같은데 또 정장일 거 같기도 하고 일단 목요일이 되기 전까지 잘 생각해 보자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너무 일이 하고 싶어 알바몬을 뒤적거리다 찾게 된 알바이다. 3월 31일 오후 6시까지 지원가능한 데 3월 31일 오후 4시 20분에 찾았다.

 

쿠팡 같은 곳은 가족들이 전부 반대를 해서 못해도 우체국정도면 괜찮지 않을 까란 생각으로 일단 응시 원서들을 체크했다. 

제출 서류

"응시원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 범죄사실 부존재확인서, 공정채용확인서"였다.

일단 서류만 봐도 꽤 어마어마하지 않은가.

그래도 뭐가 됐든 가장 중요한 건 자기소개서겠지.

자기소개서에도

"지원동기, 생활신조와 가치관, 본인의 장, 단점, 주요 경력 및 특기 사항, 만일 우정실무원으로 근무하게 된다면."

이라는 구체적인 큰 제목들이 적혀있었다.

열심히 쓰고 제출했는데 6시 이후에 다시 보니 "위해"를 써야 됐는데 "해위"라고 작성한 것을 보았다.

하, 뭐 저런 실수를 했지. 과연 이걸 읽고도 내가 면접을 보러 갈 수 있을까.

 

다시 돌아가서, 어차피 될 데로 되라는 마인드로 중근을 선택해서 지원을 했다가 지역번호로 시작하는 번호로 연락이 왔다.
처음에는 전화를 안 받고 더콜에 번호를 찍어보았는데 우편집중국이라 하길래 두 번째 전화 오는 것을 바로 받았다. 
통화 내용은 간단했다.
중근은 여자가 하기 너무 무거운 일이 많아서 정말 중근으로 지원하겠느냐는 질문이었다.
그래서 이렇게 연락은 준 데는 다 이유가 있겠지란 생각으로 다른 곳은 여자가 하기 가능하냐 물었더니 가능하다 해서 빠르게 수정해서 다시 제출하겠다 했다. 그쪽에서도 빠르게 수정해서 기간 안에 올려주셔야 한다 했다.  
전화받은 그때가 5시 41분이었다. 말 그대로 6시 전에 마지막으로 문 닫고 지원하게 된 것이었다. (이때라도 자기소개서 한 번만 더 읽어볼걸. 그랬으면 저 잘 못쓴 글씨를 봤을 텐데.)


위의 사진으로만 보면 중근이 그렇게 힘든 업무인지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표였는데 응시번호를 받고 깨달았다.
"석근1_08"
지원한 모든 사람들이 다 무거운 걸 피했구나.
저 응시 뒷 번호만 두고 보면 석근 1자리에 1명을 뽑는데 8명이 지원했나 보구먼 이란 생각이 들 수밖에 없었다.
알바몬에 나와있는 지원자 통계를 보면 대략 11명 정도가 지원한 것 같은 느낌이었는데 거기서도 무려 8명이 이곳으로 지원을 한 건가라는 생각에 잠길 때쯤 이것도 쉽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다가 이력서와 같이 있던 첨부 파일에서 이런 문구를 찾았다.
 

 
다.를 읽다가 사.를 읽어보니

채용인원보다 응시 인원이 부족하면 지원 안 한 곳으로 지원한 사람들이 들어갈 수도 있다는 말 같은데.. 과연 소포는 많이 무거운 것일까 라는 생각과 함께 어차피 한 달 정도라면 그냥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알바에서도 경쟁률이 엄청나구나라는 현실은 눈물은 안 났지만 눈물이 흐르는 것 같은 그런 느낌 적인 느낌이 들 수밖에 없는 하루였다.
 
아마도 내가 지금까지 너무 편한 길만 찾다가 이제 편한 길들은 다 걸어오고 어려운 길들 만 남은 것이겠지라는 마음으로 모든 게 다 내 선택이었다면 받아들이자는 마음이 크다. 
 
봄도 오고 꽃도 폈고, 그러다 갑자기 눈도 오고 계절이 아주 다양하게도 돌아가는데 그사이 나도 뭔가 바뀔 게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도전해 봤다. 부디 결과가 좋았으면 좋겠다.
 
4월 1일에 서류 합격 발표하고 4월 3일에 면접을 보는 것 같던데.
건강한 몸으로 이렇게 오랫동안 일을 안 해보니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미쳐버릴 것 같다.
마침 위치도 엄마랑 항상 운동가는 곳 가운데 있는 곳이라 밤에 끝나도 그렇게 걱정 안 할 것 같은 위치라 더 끌린다.
아직 부모님한테는 말하지 않았지만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다.
4월 7일(월)부터 5월 6일(화)까지 월~금 알바 정도면 새로운 시도에도 불안하지 않을 기간이지 않겠는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