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콘솔 광고 추가가
728x90
반응형
들어가기 전 알아둬야 할 5.3 용어 설명
마일스톤 :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특정할 만한 건이나 표를 말함. 프로젝트 계획에서 진척 상황을 나타내는 강력한 이정표.

메트릭 : 측정에 쓰이는 측정 척도와 방법.

번다운 차트 : 잔여 작업량과 잔여 시간을 세부적으로 비교해 애자일 팀이 기한까지 어떻게 작업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냄. == 시간에 따라 남아있는 작업의 양을 보여주는 시각적 표현. (팀이 업무를 완료하는 데 충분한 시간이 있는지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사용. 일반적으로 짧은 반복 작업을 할 때 사용 된다.)

 

5.3 테스트 모니터링, 테스트 제어, 테스트 완료
테스트 모니터링 : 테스팅에 대한 정보 수집과 관련이 있다. 이 정보는 테스트 진행 상황을 판단하고 테스트 완료 조건 또는 완료 조건과 관련된 테스트 업무가 충족됐는지 측정하는 데 사용.

테스트 제어 : 테스트 모니터링에서 얻은 정보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테스팅을 위한 제어 지침/지도/필요 수정 조치 등을 제공.
제어지침 ex.
1. 식별된 리스크가 발현될 경우 테스트 우선순위 재지정.
2. 재작업 이후 테스트 항목이 시작 조건 및 완료 조건을 충족하는지 재평가.
3. 테스트 환경 인도 지연에 대응하기 위한 테스트 일정 조정.
4. 필요한 지점과 시기에 신규 자원 추가.

테스트 완료 : 끝난 테스트 활동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경험, 테스트웨어, 기타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테스트 완료 활동은 어떤 프로젝트 마일스톤에 도달했을 때 이루어짐. 테스트 레벨이나 애자일 반복 주기의 끝, 테스트 프로젝트를 완료(또는 취소)한 시점, 소프트웨어를 배포했거나 유지보수 릴리스를 끝냈을 때 등이 여기에 해당.

 

5.3.1 테스팅에 사용하는 메트릭
테스트 메트릭 : 계획한 일정 및 예산 대비 현재 진행 상황, 테스트 대상의 현재 품질, 테스트 목적이나 반복 주기 목표 대비 테스트 활동의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수집한다.

테스트 모니터링은 테스트 제어 및 테스트 완료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메트릭을 수집한다.
< 많이 사용하는 테스트 메트릭 7가지 >
프로젝트 진행 상황 메트릭 ex. 작업 완료율, 자원 사용률, 테스트 노력 투입률
테스트 진행 상황 메트릭 ex. 테스트 케이스 구현 진행률, 테스트 환경 준비 진행률, 실행/미실행 및 합격/불합격 테스트 케이스 수, 테스트 실행 시간.
제품 품질 메트릭 ex. 가용성, 응답 시간, 평균 장애 시간.
결함 메트릭 ex. 발견/수정한 결함의 수와 우선순위, 결함 밀도, 결함 발견 비율.
리스크 메트릭 ex. 잔여 리스크 수준.
커버리지 메트릭 ex. 요구사항 커버리지, 코드 커버리지.
비용 메트릭 ex. 테스팅 비용, 조직의 품질 비용.

 

5.3.2 테스트 보고서의 목적, 내용, 대상
테스트 보고 : 테스팅 도중과 이후에 테스트 정보를 요약해 전달하는 활동.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
: 테스팅의 지속적인 관리를 지원. 계획에서 벗어나거나 상황이 바뀌어 테스트 일정, 자원, 테스트 계획을 수정해야 할 경우 그것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

테스트 완료 보고서
: 테스팅의 특정 단계(ex. 테스트 레벨, 테스트 주기, 반복 주기)를 요약하고, 후속 테스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는 테스트 모니터링, 제어 과정에서 작성을 하고 테스트 완료에서 가장 많이 활용함.

 

▶ 테스트 모니터링 및 제어 과정 중 테스트팀은 이해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를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는 정기적으로 작성한다.

<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에 들어가는 내용 >
- 테스트 기간
- 테스트 진행 상황, 주목할 만한 편차 포함.
- 테스팅 진행 방해 요소와 대응 방법.
- 테스트 메트릭.
- 테스팅 중 식별할 신규 및 변경된 리스크.
- 다음 주기에 예정된 테스팅.

 

▶ 테스트 완료 보고서는 프로젝트, 테스트 레벨, 테스트 유형이 끝나고, 이상적으로는 완료 조건도 충족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테스트 완료 활동 중 작성한다. 이 보고서는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와 기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다.

< 테스트 완료 보고서에 들어가는 내용 >
- 테스트 요약.
- 원래 테스트 계획에 기반한 테스팅 및 제품 품질 평가.
- 테스트 계획과의 편차.
- 테스팅 방해 요소와 대응 방법.
-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테스트 메트릭.
- 완화되지 않은 리스크, 수정되지 않은 결함.
- 테스팅 관련 교훈.

 

5.3.3 테스팅 상황 전달
테스트 상황을 전달하는 가장 좋은 의사소통 방법 테스트 관리자의 관심, 조직의 테스트 전략, 규제 표준, 자체 조직 팀일 경우 팀 자체에 따라 달라진다.
< 좋은 의사 소통 방법 >
- 팀원 및 기타 이해관계자와의 대화.
- 대시보드(ex. "지속적 통합"/ "지속적 전달" 대시보드, 태스크 보드, 번다운 차트)
- 전자 통신 채널(ex. 이메일, 채팅)
- 온라인 문서.
- 공식 테스트 보고서.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