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들어가기 전 알아둬야 할 5.3 용어 설명
마일스톤 :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특정할 만한 건이나 표를 말함. 프로젝트 계획에서 진척 상황을 나타내는 강력한 이정표.
메트릭 : 측정에 쓰이는 측정 척도와 방법.
번다운 차트 : 잔여 작업량과 잔여 시간을 세부적으로 비교해 애자일 팀이 기한까지 어떻게 작업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냄. == 시간에 따라 남아있는 작업의 양을 보여주는 시각적 표현. (팀이 업무를 완료하는 데 충분한 시간이 있는지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사용. 일반적으로 짧은 반복 작업을 할 때 사용 된다.)
5.3 테스트 모니터링, 테스트 제어, 테스트 완료
테스트 모니터링 : 테스팅에 대한 정보 수집과 관련이 있다. 이 정보는 테스트 진행 상황을 판단하고 테스트 완료 조건 또는 완료 조건과 관련된 테스트 업무가 충족됐는지 측정하는 데 사용.
테스트 제어 : 테스트 모니터링에서 얻은 정보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테스팅을 위한 제어 지침/지도/필요 수정 조치 등을 제공.
제어지침 ex.
1. 식별된 리스크가 발현될 경우 테스트 우선순위 재지정.
2. 재작업 이후 테스트 항목이 시작 조건 및 완료 조건을 충족하는지 재평가.
3. 테스트 환경 인도 지연에 대응하기 위한 테스트 일정 조정.
4. 필요한 지점과 시기에 신규 자원 추가.
테스트 완료 : 끝난 테스트 활동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경험, 테스트웨어, 기타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테스트 완료 활동은 어떤 프로젝트 마일스톤에 도달했을 때 이루어짐. 테스트 레벨이나 애자일 반복 주기의 끝, 테스트 프로젝트를 완료(또는 취소)한 시점, 소프트웨어를 배포했거나 유지보수 릴리스를 끝냈을 때 등이 여기에 해당.
5.3.1 테스팅에 사용하는 메트릭
테스트 메트릭 : 계획한 일정 및 예산 대비 현재 진행 상황, 테스트 대상의 현재 품질, 테스트 목적이나 반복 주기 목표 대비 테스트 활동의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수집한다.
테스트 모니터링은 테스트 제어 및 테스트 완료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메트릭을 수집한다.
< 많이 사용하는 테스트 메트릭 7가지 > | |
프로젝트 진행 상황 메트릭 | ex. 작업 완료율, 자원 사용률, 테스트 노력 투입률 |
테스트 진행 상황 메트릭 | ex. 테스트 케이스 구현 진행률, 테스트 환경 준비 진행률, 실행/미실행 및 합격/불합격 테스트 케이스 수, 테스트 실행 시간. |
제품 품질 메트릭 | ex. 가용성, 응답 시간, 평균 장애 시간. |
결함 메트릭 | ex. 발견/수정한 결함의 수와 우선순위, 결함 밀도, 결함 발견 비율. |
리스크 메트릭 | ex. 잔여 리스크 수준. |
커버리지 메트릭 | ex. 요구사항 커버리지, 코드 커버리지. |
비용 메트릭 | ex. 테스팅 비용, 조직의 품질 비용. |
5.3.2 테스트 보고서의 목적, 내용, 대상
테스트 보고 : 테스팅 도중과 이후에 테스트 정보를 요약해 전달하는 활동.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 : 테스팅의 지속적인 관리를 지원. 계획에서 벗어나거나 상황이 바뀌어 테스트 일정, 자원, 테스트 계획을 수정해야 할 경우 그것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
테스트 완료 보고서 : 테스팅의 특정 단계(ex. 테스트 레벨, 테스트 주기, 반복 주기)를 요약하고, 후속 테스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는 테스트 모니터링, 제어 과정에서 작성을 하고 테스트 완료에서 가장 많이 활용함.
▶ 테스트 모니터링 및 제어 과정 중 테스트팀은 이해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를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는 정기적으로 작성한다.
<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에 들어가는 내용 > |
- 테스트 기간 - 테스트 진행 상황, 주목할 만한 편차 포함. - 테스팅 진행 방해 요소와 대응 방법. - 테스트 메트릭. - 테스팅 중 식별할 신규 및 변경된 리스크. - 다음 주기에 예정된 테스팅. |
▶ 테스트 완료 보고서는 프로젝트, 테스트 레벨, 테스트 유형이 끝나고, 이상적으로는 완료 조건도 충족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테스트 완료 활동 중 작성한다. 이 보고서는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와 기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다.
< 테스트 완료 보고서에 들어가는 내용 > |
- 테스트 요약. - 원래 테스트 계획에 기반한 테스팅 및 제품 품질 평가. - 테스트 계획과의 편차. - 테스팅 방해 요소와 대응 방법. - 테스트 진행 상황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테스트 메트릭. - 완화되지 않은 리스크, 수정되지 않은 결함. - 테스팅 관련 교훈. |
5.3.3 테스팅 상황 전달
테스트 상황을 전달하는 가장 좋은 의사소통 방법은 테스트 관리자의 관심, 조직의 테스트 전략, 규제 표준, 자체 조직 팀일 경우 팀 자체에 따라 달라진다.
< 좋은 의사 소통 방법 > |
- 팀원 및 기타 이해관계자와의 대화. - 대시보드(ex. "지속적 통합"/ "지속적 전달" 대시보드, 태스크 보드, 번다운 차트) - 전자 통신 채널(ex. 이메일, 채팅) - 온라인 문서. - 공식 테스트 보고서. |

728x90
반응형
'ISTQB > ISTQB 4.0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TQB 4.0 공부 ) 마지막 6장! 6.1 테스팅 지원 도구, 6.2 테스트 자동화의 효과와 리스크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10.07 |
---|---|
ISTQB 4.0 공부 ) 5장 5.4 형상 관리, 5.5 결함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10.07 |
ISTQB 4.0 공부 ) 5장 5.2 리스크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10.02 |
ISTQB 4.0 공부 ) 5장 5.1 테스트 계획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9.30 |
ISTQB 4.0 공부 ) 5장. 테스트 활동 관리 용어 정리를 해보자.(용어 사전 정리) (0) | 202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