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콘솔 광고 추가가
728x90
반응형

인프런에 있는 개발자를 위한 컴퓨터 공학 2 :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강의에 대해 정리해본다.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란?
- 여러 개의 장치가 마치 그물처럼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
  • 네트워크 구조 = 그래프의 형태
  • 그래프(graph) : 노드(node) or 정점(vertex)과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dge) or 링크(link)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
네트워크 구조 살펴보기 (아래 4가지로 기본적으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라고 알아두면 돼.)
- 가장자리에 위치한 노드 >> 호스트
- 중간에 위치한 노드 >> 네트워크 장비
- 노드 간 연결하는 링크 >> 통신 매체
- 노드 간 주고받는 정보 >> 메시지 

 

네트워크 기본 구조
호스트 - 네트워크의 가장자리 노드.
-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는 메시지를 최초로 생성해서 송신하거나,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대상.
- 호스트 역할에 따른 구분
클라이언트(client) :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는 호스트.
서버(server) :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호스트. 

ex>> 패스트푸드점에서 
손님 : 햄버거 세트 하나 주세요.(요청- 클라이언트)
알바생 : 여기 있습니다.(응답- 서버) 
네트워크 장비 - 호스트 간 주고받을 정보가 거치는 중간 노드(이더넷 허브, 스위치, 라우터, 공유기, 방화 등).
- 호스트 간 주고받는 정보가 수신지까지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전송.
통신 매체 - 각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링크)
- 유선 매체와 무선 매체가 있다.  
메시지 - 통신 매체로 연결된 노드가 주고받는 정보 (웹페이지, 파일, 메일 등)

 

** 오해하기 쉬운 부분 **
- 네트워크의 노드는 반드시 호스트(서버, 클라이언트) 아니면 네트워크 장비로서만 동작할 수 있다?
-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호스트는 절대로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호스트는 서버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
>> NO! 
역할에 따라/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구분한 개념일 뿐, 완전히 배타적인 개념은 아님.
>> 호스트로 동작하는 노드도 때로는 네트워크 장비 역할 수행 가능.
>> 서버로 동작하는 노드도 때로는 클라이언트 역할 수행 가능.
>>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노드도 때로는 서버 역할 수행 가능.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